PHI2007 | 한국철학사 |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
---|---|---|
한국 철학은 고조선과 삼국시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포함한다. 한국철학의 원형을 비롯한 한국철학의 주요 흐름과 특징, 성격, 학파와 논쟁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철학을 전체적으로 이해한다. | ||
Korean philosophy focuses on the totality of world views. The emotional content of Shamanism, the unpredictable, and some aspects of Neo-Confucianism are integrated into it. Traditional Korean thought has been influenced by a number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deas. This course explores how Korean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movements have shaped Korean life and though | ||
PHI2027 | 윤리학 | Ethics |
고대 공동체 윤리를 간단하게 조망한 뒤 현대 윤리학의 주제와 방법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윤리적 상대주의, 이기주의의 가능성과 한계, 공리주의 및 칸트 의무윤리학, 본래적 가치, 도덕적 책임과 자유의지 등을 다룬다. | ||
After surveying the ancient community ethics briefly, this course intensively investigates the issues and methodologies of contemporary ethics. We discuss ethical relativism, the possibility and limits of ethical egoism, utilitarianism, Kant’s deontic ethics, inherent values, moral responsibility, and free will. | ||
PHI2035 | 논리학 | Introduction to Logic |
학문이나 일상생활에서 범하는 그릇된 논변들을 검토하면서 연역적 논변의 필요성과 그 구조를 밝히는 데로 나아간다. (일상적인) 연역적 논변이 가질 수 있는 한계가 무엇인지를 점검하면서 기호 사용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여 기호 논리학의 의의를 알게 한다. | ||
This examines the fallacies in logical arguments often occurred in ordinary and academic life, so this proceeds to illuminate the necessity of deductive reasoning and its structure. Then, this lightens up the true meaning of logic while being awakened to the necessity of logical thinking by looking closely into the potential limitation of deductive inference. | ||
PHI2045 | 철학의 문제들 |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전공에 도움이 될 기초 내용들을 다루며, 철학사의 기본 흐름, 기본적 방법론, 나아가 형이상학 및 인식론의 기본적 문제들을 접하게 한다. | ||
This aims at the basic and preliminary understanding for Philosophy, providing the fundamental ideas, concepts and theories of Philosophy in addition to the primary issues o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within the access to the general methodology of Philosophy. | ||
PHI2058 | 인식론 | Epistemology |
우리는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인식의 가능성, 대상 , 범위,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회의론, 이성론, 경험론을 포함하는 인식론의 철학사적 쟂관과 더부어 지식의 본질과 종류, 믿음과 명제, 선험적 지식, 경험적 지식의 정당화, 기초주의와 정합주의 등의 문제를 다룬다. | ||
What' can we know about and 'how' can we know about it? Quest for the origin, certainty of knowledge; a critical study of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It will be also discuss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skepticism, realism, idealism, rationalism, empiricism, and so on. | ||
PHI2059 | 서양고중세철학사 | History of Ancient and Medival Western Philosophy |
그리스의 자연철학으로부터 중세철학까지의 철학사를 개관하되,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스이토스, 원자론,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및 중세의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스코투스의 사상에 중점을 둔다. | ||
This provides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hilosophy in history from ancient Greek to the medieval ages. In particular, this intensively focuses on the thoughts of Parmenides and Herakleitos, the logical theory on atom and the thoughts of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In addition to them, the thoughts and beliefs in the Medieval western philosophy would be discussed in general. | ||
PHI2061 | 서양근세철학사 |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
르네상스 이후 인문정신과 자연과학적 탐구정신을 배경으로, 인식의 근원을 이서에서 찾고자 하는 대륙의 이성주의와 경험에서 찾고자 하는 영국의 경험주의가 날카롭게 대립하면서 발전하였다.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가 대표하는 이성주의와 로크, 버클리, 흄이 대표하는 경험주의가 내세우는 학문적 방법론, 인간 및 우주에 관한 이론, 사회에 관한 이론 등을 통해 근세 철학의 특징을 검토한다. | ||
On the background of the humane spirit and the inquiring mind from natural science after Renaissance, rationalism on the Continent and empiricism in England had been correlatively developed each other with its confrontational debates. This course throughly examines the thoughts on rationalism represented by Descartes, Spinoza and Leibniz, and futhermore, comparatively studies about the thoughts on empiricism represented by Locke, Berkeley, and Hume, in addition to its academic methodology and the theories on human being, world, and society. | ||
PHI2060 | 형이상학 | Metaphysics |
형이상학은 존재의 근본 원리를 탐구한다. 이론적 분과 학문 또는 일상적 생활에서 부딪치게 되어 있는 근본 개념 또는 문제들을 다루며, 있음고 없음, 하나와 여럿, 시간과 공간, 현상과 실재, 삶과 죽음, 자유의지와 결정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
Metaphysics explor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xistence. This is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problems and concepts relevant to the most basic features of reality. It deals with the issues on being and nothingness, the primary concepts of time and space, the problem on life and death, the relations of freedom with determinism, and other correlative dichotomies. | ||
PHI4094 | 인공지능과 심리철학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hilosophy of Mind |
현 시대에 이루어지는 마음 내지 정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심신 문제, 지향성과 표상, 의식의 수수께끼로 대별된다. 한편, 지능 내지 마음을 갑춘 기계 시스템을 연구하는 인공지능은 고전적 기호주의, 연결주의, 체화 이론 등의 연구 패러다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은 지각, 사유, 추론, 판단, 감정 등과 같은 심적 능력을 컴퓨터 프로그램, 인곤신경망학습기계, 또는 체화된 로봇 시스템 등을 통하여 모의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인공지능과 심리철학의 연관성에 주목하면서 마음에 대한 자연주의적, 환원주의적 접근의 명과 암을 명확하게 인식한다. | ||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mind or spirit conducted in the present era are broadly divided into the mind-body problem, intentionality and representation, and the mystery of consciousness. Mean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studies machine systems with intelligence or mind, consists of research paradigms, such as classical symbolicism, connectionism, and embodiment theory. It attempts to simulate and implement mental abilities, such as perception, thinking, reasoning, judgment, and emotion through computer programs,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machines, or embodied robot systems. Paying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hilosophy of mind, we clearly understand the pros and cons of naturalistic and reductionistic approaches to the mind. | ||
PHI2054 | 중국철학사 |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
중국 선진(先秦) 철학에서 현대철학까지를 살펴본다. 중국철학사를 선진철학(先秦哲學), 한당(漢唐哲學), 송명철학(宋明哲學), 청대철학(淸代哲學), 근현대철학(近現代哲學)으로 구분하고, 각 시기 또는 단계의 주요 철학 쟁점을 토론한다. | ||
This course dealing with Chinese Philosophy from Pre-Qin era to Modern-Contemporary era classifies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to Pre-Qin(先秦), Hin-Tang(漢唐), Song-Ming(宋明), Qing(淸) and Modern-Contemporary of China, and discusses their philosophical issues. | ||
PHI2055 | 노장철학 | Philosophy of in Laozi and Zhuangzi |
『도덕경』과 『장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 도가철학(道家哲學)의 정초자들인 노자와 장자 철학을 살펴본다. 두 철학자들의 철학을 각각 노학(老學)과 장학(莊學)으로 명명하고, 이들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동이(同異)를 토론한다. | ||
This course examines Laozi and Zhuangzi to understand Laozi and zhuangzi's thought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Chinese Taoism, and discusses ab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
PHI2056 | 선진유가철학 | Philosophy in Pre-Qin's Confucianism |
선진유가철학은 공자, 맹자, 순자 및 현대기에 출토된 유가 문헌 자료들에서의 철학을 포함한다. 이 강좌는 이들 철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기타 다른 철학 학파들의 사상과 비교되는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유가철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 철학계의 관련 연구 동향을 소개함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힌다. | ||
Pre-Qin(先秦) Confucianism, mainly originated from Confucius and developed by Mencius and Xunzi, is contained in not only their thoughts but also in Confucian texts excavated recently. This course focuses on understanding Pre-Qin Confucianism through conducting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their thoughts and analyzing their distinguishing features. | ||
PHI2057 | 제자백가철학특강 | Seminar on The Hundred Schools |
제자백가 철학은 혼란의 시대에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삶의 규칙과 논리를 도모한 사상가들의 고민의 산물이다. 제자백가는 '여러 현명한 선생님들과 그 학파'라는 뜻으로, 춘추전국시대라는 혼란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혜를 모았던 여러 사상가들의 철학이다. 춘추전국시대를 정면 돌파하려 했던 관중, 공자, 손자, 오자, 묵자, 양주, 상앙, 맹자, 노자, 장자, 혜시, 공손룡, 순자, 한비자 등의 철학과 논리를 살펴본다. | ||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is the product of the thoughts of the thinkers who healed pain and wounds and invented new rules and logic of life in times of turmoil. It is the philosophy of various thinkers who gathered wisdom to overcome the turmoil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 ||
PHI4027 | 문화와 역사의 철학 | Philosophy of History and Culture |
인간 삶의 이상적 표현 형태인 문화 및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찰한다. 칸트와 헤겔의 이성주의 역사철학, 푸코의 성(性)과 권력의 역사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현상과 사건에 대해 역사적 반성을 가하고,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에 있어서 진리와 사실의 관계, 객관성 문제, 역사에서의 설명 및 역사법칙 등을 고찰한다. | ||
The course examines the fundamental problems i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the concepts and theories put forward by important philosophers in the modern western world. It studies the issues of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laws, of facts and truth in history, of the objectivity of historical facts, and so on. | ||
PHI4092 | 정치사회철학 | Philosophy of Politics and society |
현대 사회를 만들고 현재의 사회현상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정치사회철학의 여러 조류를 역사문화적 방법론과 의미해석적 및 언어이해적 방식을 통해 분석적이고 종합적으로 탐구한다. 이러한 탐구는 자유주의, 실증주의, 유물론, 변증법, 민주주의, 인권, 정의로운 질서와 같은 쟁점의 주제로 여러 철학자들의 세계관과 사상을 추적하면서 인간과 사회의 본질을 추구하여 궁극적으로 나와 세계의 근본적 이해와 주체적인 삶의 실천을 모색한다. | ||
This course investigates politics and society philosophy’s a diverse of tides to understand social phenomenon and know how to form mordern society. this investigation constitutes of doing analytic and syntheritic throught history-cultural methodolgoy and meaning-interpretation’s understanding way and language-understanding’s way. This traces a many of philosophy’s worldview and thoughts in topic issue such as liberalism, positivism, materialism, dialecticism, democracy, justicious order and finds subjective praxis of life. | ||
PHI4069 | 미디어와 예술철학 | Media and Philosophy of Art |
감성에 토대를 둔 미적 체험 일반의 가능성과 그 연구 방법을 미디어와 관련된 현대적인 관점에 따라 다루어 본다. 이 강좌를 통해 우리는 어떻게 예술이 미디어와 연관되어 있는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
This course deals with the possibility of aesthetical experiences based on sensibility, and discusses its research method in terms of the modern views related to the media. Through this course we can obtain various concepts and theories of art and how arts are related to media. | ||
PHI4072 | 언어분석철학 | Linguistico-Analytic Philosophy |
이 강좌는 언어분석 철학의 기원과 발달 및 그 철학적 의의를 다룬다. 특히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콰인이 제시한 의미이론과 언어관을 심도 있게 토의한다. 나아가 언어철학의 제 문제를 언어학, 심리학, 문화인류학을 결합한 다학제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 ||
This course is concerned with the origins, developments,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analytical philosophy. In particular, we thoroughly examine the views of meaning and language suggested by Frege, Russell, Wittgenstein, and Quine. Furthermore we investigate various problems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from the multi-disciplinary point of view that includes linguistics, psych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 ||
PHI4073 | 독일고전철학 | German Classical Philosophy |
독일관념론은 칸트 자신이 선험적 관념론이라고 일컬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생겨난 철학이다. 이는 특히 피히테, 쉘링, 헤겔에 의해 꽃을 피우게 된다. 이 강좌에서 우리는 칸트로부터 헤겔에 이르기까지 독일관념론의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 ||
German idealism, which is originated from transcendental idealism put forward by Kant, prosperously developed with the efforts and thoughts of Fichte, Schelling, and Hegel. This course looks closely into the developments of German idealism, especially from Kant to Hegel. | ||
PHI4074 | 한국철학의 주요 쟁점들 | Special Topics in Korean Philosophy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철학을 철학사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몇 가지 주요 주제로 깊이 있게 살펴본다. 한국철학과 중국철학, 그리고 서양철학과 비교하고, 현대적 의의를 모색한다. | ||
This course explores some central problems of Korean philosoph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beyond the traditional way of learning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is course we compare Korean philosophy with Chinese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and explore its modern significance. | ||
PHI4097 |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철학 | Posthumanism and Philosophy of Tecnology |
기술철학은 신생학문으로 기술로 인한 사회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 개념과 기술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는 철학이다. 이러한 기술철학을 토대로 포스트휴머니즘은 기술발달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를 희망하는 입장과 기술을 통해 기존의 인간개념에 대해 반성적인 태도를 취하는 입장을 양극단으로 인간 개념을 수정, 보완하고 확장하고자 한다. 철학적 토대가 되는 인간, 자연 , 기술에 대한 근본 개념을 파악한다. | ||
Philosophy of technology is an emerging field of study that explores not only the socio-ethical issues arising from technology but also delves into the essence of human concepts and technology itself. Building upon this philosophy of technology, posthumanism encompasses two opposing perspectives: one that seeks to transcend human limitations and become more authentically human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another that adopts a reflective attitude towards the traditional concept of humanity in light of technology. Posthumanism aims to modify, enhance, and expand our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concepts related to humanity, nature, and technology based on a philosophical foundation. | ||
PHI4096 | 과학철학 | Philosophy of Science |
과학철학은 과학적 탐구의 본질을 고찰한다. 과학적 법칙, 설명 및 발전의 문제를 귀납주의, 오류주의, 환원주의, 과학적 실재론, 도구주의, 쿤의 패러다임, 귀납법의 정당화 등과 관련하여 고찰한다. | ||
Philosophy of Science investigates the essence of scientific inquiry. Problems of scientific law, explanation and development are examined concerning verificationism, falsificationism, reductionism, scientific realism, instrumentalism, Kuhn's paradigm theory and justification of induction. | ||
PHI4095 | 현상학과 해석학 |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
현상학은 판단중지와 환원이라는 특수한 방법을 통하여 의식에 나타나는 사물과 사태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는 철학이다, 후설, 셸로, 하이데거,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등이 대표적인 현상학자들이다. 해석학은 경험, 텍스트, 언어, 존재 등에 대한 해석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는 철학으로,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가다머, 이쾨르 등의 사싱이 주목할 만 하다. 현상학과 해석학의 근본 특징 및 그들 사이의 이론적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파악을 통하여, 현상학적 사유 방식과 해석학적 사유 방식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실행하며 활용해 본다. | ||
Phenomenology is a philosophy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ings and states of affairs that appear to consciousness through the special methods of epoché and reductions. Representative phenomenologists include Husserl, Scheler, Heidegger, Sartre, Merleau-Ponty, and Levinas. Hermeneutics is a philosophy that studies theories and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text, language, or being. The ideas of Schleiermacher, Dilthey, Gadamer, and Ricoeur are noteworthy. By means of recogniz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and also the theoret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m, we appropriately understand, practice, and utilize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ways of thinking. | ||
PHI4093 | 현대프랑스철학 | Modern French Philosophy |
현대독일철학의 압도적 영향력 아래서도 자기나름의 문제의식을 발전시킨 현대프랑스철학의 개념구상들을 '문제-개념' 연관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사르트르, 리쾨르, 메를로-퐁티, 데리다,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라캉, 푸코, 알튀서, 들뢰즈의 철학적 개성과 영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 ||
This course comprehends the conceptual plot of modern french philosophies in the connective frame of problem-concept which have developed their own problematics under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modern german philosophies, and explores intensively their philosophical personality expressed in the philosophies of J. P. Sartre, P. Ricoeur, M. Merleau-Ponty, F. Saussure, C. Levi-Strauss, J. Lacan, L. Althusser, and G. Deleuze. | ||
PHI4082 | 송명성리학 | Seminar on on Neo-Confucianism |
이 강좌는 송․원․명시기의 유학을 왜 새로운 유학이라고 하는가를 해명하는 것으로부터 그 다양한 전개를 크게 이본론(理本論)․기본론(氣本論)․심본론(心本論)의 세 가지 시스템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이 시기의 신유학은 특히 불교 본체론의 영향을 크게 받고, 이를 극복한 바탕 위에서 유가적 형이상학을 건립하였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비교철학적 관점으로 살펴볼 것이다. | ||
Explaining why the resurrection of Confucianism in Song(宋)-Ming(明) dynasty is called Neo-Confucianism, this course deals with its diverse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s of Li(理), Qi(氣), and mind Xin(心). Neo-Confusianism was affected by Buddhism, but it overcame Buddihsm by its own theoretical buildings at the same time. Thus, this course will study comparatively these Neo-Confucian features. | ||
PHI4083 | 주역철학특강 | Seminar on yi-jing(易經) |
이 강좌는 주역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특히 주역의 우주론과 천인합일론이 가지고 있는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 ||
This course focuses on utilizing yi-jing as well a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especially, discusses about the significance of cosmology and the unity of Universe and Humanity it has on the present. | ||
PHI4084 | 도가·도교사상의이해 | Understanding ofTaoism& Taoist philosophy |
이 강좌는 한대(漢代)의 도가․도교 사상과 위진(魏晉)의 현학(玄學)의 사상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열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노자․장자 철학을 제외한 도가사상과 중국 전통 종교로서의 도교 사상, 그리고 도가계열의 형이상학이라고 할 수 있는 현학 등을 주요하게 살펴볼 것이다. | ||
This course is about Taoism & Taoist philosophy in Han(漢) dynasty and xuansue(玄學) in wejin(魏晉) era. Taoist Philosophies have already existed in Laozi, Zhuangzi, Liezi, and etc, before the religious formation of Taoism. Among these, this course studies Taoist Philosophies except for Laozi and Zhuangzu's thought, Taoism as a traditional religion in China, and xuansue(玄學) called metaphysical development of Taoist philosophy. | ||
PHI4085 | 불교우주론과AI의철학 | Buddhism cosmology and Philosophy of AI |
이 강좌에서 말하는 ‘인공지능(AI)’은 환경을 인식하고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모든 시스템인 ‘지능형 에이전트’를 가리킨다. ‘인공지능의 철학’은 인공지능과 지식, 윤리, 의식, 인식론, 자유의지에 대한 지식과 이해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는 기술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공 동물이나 인공 사람(트랜스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의 창조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철학계의 상당한 관심사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게 주목받는 철학 중 하나가 바로 불교 우주론, 즉 불교의 시간과 공간 및 인생에 관한 철학이다. 따라서 이 강좌는 ‘지능형 에이전트’ 개발 영역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불교 우주론 철학을 ‘인공지능의 철학’과 연결하여 살펴보고, 이 영역에서 불교 우주론이 어떻게 AI와 연결·결합되는지를 소개하며, ‘인문학의 비즈니스화’에 연결되는지 등을 토론한다. | ||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ferred to in this lecture refers to 'intelligent agent', all systems that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maximiz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goals. "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field of technical philosophy that explores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nowledge, ethics, consciousness, epistemology, and free will. So it is of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philosophy community because it is also related to the creation of artificial animals or artificial humans(like transhuman or posthuman). In this context, one of the most notable things in this situation is the Buddhist cosmology, that is, the philosophy of Buddhist time, space, and life. Therefore, this course examines the philosophy of Buddhist cosmology, which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intelligent agent’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we will introduce how Buddhist cosmology is connected and combined with AI in this area and discuss whether it is linked to the "businessization of humanities." |
||
PHI4098 | 실천윤리학 | Practical Ethics |
실천윤리학은 구체적인 윤리적 쟁점을 탐구하며, 추상적인 윤리적 원리를 탐구하는 이론윤리학과 구분된다. 실천윤리학은 이론윤리학이나 철학의 지식 그리고 인류의 기타 지적 자원을 풍부하게 동원해 탐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일상적인 윤리적 사고와도 구분된다, 이 강좌는 특히 동뭉, 베아와 태아, 그리고 장애인의 도덕적 지위, 빈부격차, 기후 위기, 시민 불복종 등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윤리적 쟁점들을 고찰한다. 이 강좌를 통해 윤리적 문제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윤리적 논변을 철학적으로 구성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
Practical ethics explores specific ethical issues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oretical ethics, which explores abstract ethical principles. Practical ethics is distinct from everyday ethical thinking in that it conducts research by mobilizing abundant knowledge of theoretical ethics, philosophy, and other intellectual resources of humanity. This course specifically examines actively debated ethical issues such as the moral status of animals, embryos and fetuses, the disabled,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the climate crisis, and civil disobedience. Through this course, you will develop the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nature of ethical issues and construct ethical arguments philosophically. | ||
PHI2062 |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 | Ethics in the Age of Artificisl Intelligence |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알고, 그에 대한 구체적 대응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기술시대의 사회적 논의를 견인할 수 있는 비판적 윤리적 시민을 양성한다. | ||
This course aim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societal and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present specific responses to these challenges. Through this, the goal is to cultivate critical and ethical citizens who can drive social discussions in the era of technology. | ||
PHI4099 | 불교와 현대종교철학 | Buddahism and Contemporary Philosophy of Religion |
이 강좌는, 전통적인 서구 신학 중심의 종교철학에 대비되어 종교 다원성의 이념과 비교분석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불교와 서양현대철학의 만남에서 등장하는 몇몇 공통적인 근본 문제들을 융합적인 방식으로 탐구한다. 이는 종교적 언어, 마음, 경험, 가치, 진리, 실재 등의 문제를 포괄한다. 여기서 우리는 불교와 현대철학 사이의 새로운 상호 대화와 상호 발전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으며, 종교과 종교성의 본질에 대하여 보다 더 심오하고 균형잡힌 관점에 이를 수 있다. | ||
In contrast to traditional western theology-centered philosophy of religion, this course, on the basis of the idea of religious pluralism and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analysis, explores in an integrative manner some common fundamental issues that arise from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contemporary western philosophy. This encompasses issues of religious language, mind, experience, value, reality, and truth. Here we can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ew mutual dialogue and mutual development between Buddhism and contemporary philosophy, and reach a more profound and balanced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religion and religios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