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디오니소스제

동국대학교 철학과의 학술제인 디오니소스제는 1973년에 1회가 열렸으며 1983년 4회부터 지금까지 매년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축제이다. 일정 기간 동안 학술행사, 문화행사, 체육행사, 친교행사 등으로 진행되며 과의 한 해 활동을 갈무리하는 의미 있는 행사이다. 매년 학생회를 중심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교강사 및 외부 선생님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개최하거나 자유로운 문제의식에 따라 작성한 학부생 개인 혹은 학회의 논문 발표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학술제에서 발표하는 논문과 자유기고글 등을 모아 철학과 학술지 <우리시대>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우리시대

철학과 학술지 우리시대는 1985년에 창간하여 매년 발간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학과 학술지인 <철학사상>과 구분되는 학부생들의 자유기고글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나, <철학사상>이 동서사상연구소의 철학 전문 학술지 <철학·사상·문화>로 계승된 현재는 논문 등 1년간 학부생들의 학술활동 성과를 게재하는 학부 중심의 학술지 성격을 띄고 있다. 지금까지 발간된 우리시대는 학과 홈페이지의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1회 (1973. 10. 29) – ‘동서 철학의 만남’

2회 (1979) – ‘현상학의 본질’

– 후설의 현상학 – 이영호 (성균관대 교수)

–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 – 김용정 (본교 교수)

3회 (1980) – ‘고대 철학의 제문제’

– 희랍사상에 있어서의 디오니소스의 의의 – 박종현 (성균관대 교수)

– 종교는 기존 가치를 부정하는가 – 황필호 (덕성여대 교수)

4회 (1983) – ‘현실과 철학’

– Hegel의 변증법과 역사 – 이석윤 (본교 교수)

– 노자의 도와 덕 – 김항배 (본교 교수)

– 현실과 인식 – 황경식 (본교 교수)

(본래의 명칭이 아닌 “봄철 Dionisos 83년 학술제”라는 이름으로 개최)

5회 (1984) – ‘현대 철학에의 접근’

– Wittgenstein의 이해를 위한 소고; 그의 윤리관을 중심으로 – 3학년 윤용택

– 중국 본체론에 대한 고찰; 오늘날 다시 생각해 보는 묵자 – 3학년 유흔우

– 현대 Humanism의 방향성을 구하는 시론 – 3학년 이준호

6회 (1985) – ‘현대 철학의 제문제’

– J. Locke의 언어관에 관한 고찰 – 3학년 신기훈

– 예술 철학으로 본 심미주의 – 3학년 엄규섭

– H. Marcuse와 K. Popper의 사회인식에 관한 고찰 – 2학년 양우성

7회 (1986) – ‘공동체적인 삶을 위하여’

– 논문 주제: “인간 해방 사상에의 접근”

– 비폭력이란 무엇인가 – 황필호 (본교 교수)

– 공자의 인본주의 철학사상 – 3학년 유병래

- 개체와 공동체에 대한 사회존재적 해석 – 3학년 홍상철

8회 (1987)

– 현대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소외의 문제 – 김용정 (본교 교수)

– 민중불교와 해방신학 – 황필호 (본교 교수)

– 맹자의 사회사상; 修己와 治人을 중심으로 – 3학년 이희욱

- 변증법적 유물론에 있어서의 모순개념에 대한 고찰; 모택동의 모순론을 중심으로 – 3학년 정용식

9회 (1988) – ‘변혁적 세계관으로서의 철학’

- 『경세유표』연구 서설 – 박사과정 이유진 / 논평 – 석사과정 유흔우

– 선진시대 정명사상의 전개과정 – 2학년 이진희 / 논평 – 4학년 이희욱

– 과학적 공산주의의 기초 – 3학년 송병철

- 주체사상 비판 시론 – 3학년 신상기 / 논평 – 4학년 심응래

10회 (1989) – ‘만남에서 자유, 그리고 해방으로!’

– 12세기의 시대 상황 속에서 본 삼국유사 – 3학년 김성호

– 선진시대 정명사상의 전개과정 – 2학년 이진희 / 논평 – 4학년 이희욱

– 유물 변증법과 정치 경제학 – 3학년 조극훈

– 여성해방 일반론 – 2학년 박민미

11회 (1990) – ‘철학적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인간’

– 스핑크스의 실수 – 2학년 홍진기

–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한 일고찰 – 사회철학 연구팀

12회 (1991) – ‘앎의 추구; 그 방법으로서의 철학’

– Marxism의 총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학년 신승철 / 논평 – 석사과정 조극훈

13회 (1992)

– 현대 유학의 방향 – 4학년 유만춘 / 논평 – 박사과정 유흔우

– 과학법칙의 형식적 성격에 대한 연구 – 4학년 이진희 / 논평 – 석사과정 김영진

14회 (1993)

– 스피노자가 제시하는 “힘들고 드문 길” – 3학년 안국준 / 논평 – 석사과정 김영진

– 신의 현존에 관한 데카르트의 존재론적 논증고찰 – 3학년 문경환 / 논평 – 석사과정 홍성훈

15회 (1994)

– 철학의 위기는 없다 – 김용정 (본교 교수)

– ‘존재론적 탐구’에 의하여 의미되는 것은 무엇인가 (석사과정 김영진)

– 노신의 영명한 철인과 니이체의 ‘위버맨쉬’ – 4학년 엄성훈 / 논평 – 석사과정 유만춘

16회 (1995) – ‘더이상 주제는 없다’

– 이론과 실천 – 이석윤 (본교 교수)

– 수리철학 – 3학년 이숙경

– 자끄 라깡의 언어철학 무의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 4학년 이은정 / 논평 – 석사과정 신재용

– 中國哲學의 始發 孟.荀에 나타난 性의 一考察 / 논평 – 박사과정 이후덕

17회 (1996) – ‘혼돈과 질서’

– 혼돈과 질서 ; 우리의 삶의 방향을 생각하며 – 최인숙 (본교 교수)

– 기하학의 철학사적 영향에 대한 고찰 – 수리철학 학회 (4학년 이숙경, 2학년 조현서, 박구현) 논평 – 박사과정 이진희

– Platon의 Idea론 – 서양철학 학회 (4학년 윤수환, 인문학부 1학년 김은주, 신기철, 이해수, 황은경) 논평 – 박사과정 홍성훈

18회 (1997) – ‘대립과 초월’

– 강연 – 유흔우 (본교 교수)

– 사회과학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 – 4학년 김정태 / 논평 – 박사과정 홍성훈

– 생명조작과 생태계의 위기 그리고 생명가치 – 4학년 김창규 / 논평 – 석사과정 남정우

19회 (1998) – ‘이제는 자유로 간다’

– 고대 그리스의 기하학적 방법으로서의 ‘분석’과 ‘종합’ – 양문흠 (본교 교수)

– 退溪의 四端七情論 『退.高 四七往復書翰』分析을 中心으로 – 4학년 김명식

– 객관적 관찰에 대하여 – 3학년 신기철

20회 (1999) – ‘21세기, 철학은 어디로 가는가’

– 21세기 철학의 문제들 – 홍윤기 (본교 교수)

– 인식경향으로 본 전통적 정의관과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비교 – 4학년 조홍규 논평 – 박사과정 박민미

21회 (2000) – ‘Break The Wall’

– 현 단계 한국 철학도의 과제 – 강유원 (본교 출신 철학 박사)

– 인공지능과 심리철학 – 4학년 권재현

– 데카르트와 화이트헤드 철학에서의 이성개념 비교 – 4학년 윤준영

22회 (2001) – ‘Modernity’를 찾아서

– 21세기 한국 철학 연구의 방법 – 김충열 (연세대 석좌교수)

– 계몽주의의 담론적 분석 – 4학년 남성일 / 논평 – 석사과정 권재현

– 베이컨과 우리 사회 20, 30년대 지식인 – 4학년 이승준 / 논평 – 석사과정 신승철

–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반 – 4학년 강병우 / 논평 – 박사과정 남정우

– 『신기관』에 나타난 ‘자연에 대한 지배의 이상’ – 4학년 김정신 / 논평 – 박사과정 박민미

– 로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의 비교 – 4학년 서인철

23회 (2002) – ‘나 그리고 우리’

– 儒彿道 이론 교섭사에서 道家的 世界觀 이해의 중요성 – 허인섭 (본교 동서사상연구소 연구 교수)

– 호르헤 수도사와 불목하니들 : 소설 《장미의 이름》을 통해서 본 중세 말의 몇 가지 상징들 – 4학년 신기철 / 논평 – 석사과정 남성일

24회 (2003) – ‘Here and Now’

– 나에게 있어서 철학은 어떤 의미인가 – 김영건 (서강대 강사)

– 朱熹 人物性論에 나타난 理氣 關係에 대하여 – 4학년 이승원 / 논평 – 박사과정 김명식

– 도가와 불교의 차이점과 접합점 : 노자 『도덕경』과 나가르주나 『중론』을 중심으로 – 4학년 김대근 / 논평 – 박사과정 김현수

25회 (2004) – ‘철학을 공부할 마음은 있는가’

– 철학을 공부할 마음은 있는가 – 강유원 (서강대 강사)

– 인상과 관념의 구분에 대한 흄의 논변 고찰 – 3학년 신승우

– 자유의 진정한 의의 :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재해석한 장용학의 [요한 시집]을 중심으로 – 1학년 전해리

26회 (2005) – ‘爲己之學 爲人之學’

– 우리는 왜, 무엇을 위해 철학을 하는가 – 김교빈 (호서대 교수)

– 수학적 판단의 성질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중심으로 – 2학년 장보연 / 논평 – 허유선(석사과정)

– 마르크스 사상의 소개 – 4학년 이재광

27회 (2006) – ‘철학함을 즐겨라’

– 한국에 있어서 유불도 사상의 융섭 – 김항배 (본교 명예교수)

– 의식의 현상적 특성과 복합적 개념 – 4학년 김진원 / 논평 – 박사과정 홍성훈

– 철학하기에 관하여 철학하기 제1작업 ; 데카르트의 cogito에 관한 私的 해석 – 4학년 성다움 / 논평 – 박사과정 허유선

– 흄의 자유의지에 관한 견해 비판 – 1학년 박슬기 / 논평 – 석사과정 장운혁

28회 (2007) – ‘죽음’

– well dying – 오진탁 (한림대 교수 / 생사학연구소장)

– 죽음을 인정하라. 삶을 얻을 것이다 – 4학년 조영훈 / 논평 – 이승준(박사과정)

– 선진유가를 통해서 본 죽음과 삶의 문제 – 4학년 임효택 / 논평 – 황인욱(박사과정)

29회 (2008) – ‘문화, 철학에 취하다’

– 디자인과 삶의 철학 – 김민수 (서울대 교수)

– 국화와 칼 : 일본문화의 틀에 대한 소고 – 3학년 설은표

30회 (2009) – ‘사량; 도. 서. 관.(도저히 알 수 없는 서로의 관계)’

– 관계 그리고 철학 – 김항배 (본교 명예교수)

– 사랑에 관한 인식론적 고찰 – 3학년 윤형석 / 논평 – 장운혁(박사과정)

– 본래적 가치로서의 사랑 ; 88만원 세대를 중심으로 – 4학년 윤소담 / 논평 – 허유선(박사과정)

31회 (2010) – ‘고통’

– 도덕체계에서 고통의 역할 – 4학년 임태훈 / 논평 – 황인욱(박사수료)

–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의 숭고 – 3학년 김성제 / 논평 – 한병준(박사수료)

32회 (2011) – ‘시간’

– G.E. Moore의 자연주의적 오류 분석 – 4학년 박슬기 / 논평 – 장운혁(박사과정)

– 음악적 시간의 존재론 – 2학년 신정욱 / 논평 – 남정우(본교 출신 철학 박사)

– ‘선분의 비유’와 「파이돈」을 통해 본 이데아 – 2학년 이민열 / 논평 – 허유선(박사수료)

33회 (2012) – ‘현상과 실재’

– 철학사에 있어서 현상 – 실재 담론(그 개념편제형태와 정당화 방식의 역사적 변화) – 홍윤기(본교 교수)

– 중국철학의 본체와 현상 – 유흔우(본교 교수)

– 서양 현대철학에서 ‘현상과 실재’의 문제(현대철학에서 ‘현상과 실재’ 이념의 변용과 그 일상적 적용을 중심으로) – 김영진(경기대 교수)

– 음악작품과 정자의 정서간의 관계 고찰 – 3학년 신정욱 / 논평 – 박슬기(학사수료)

– 이항로의 심설논의와 위정척사사상의 연계 – 4학년 강한겨레 / 논평 – 이승원(박사과정)

– 칸트철학에서 이성과 신앙의 관계 – 2학년 송성아 / 논평 – 천동환(3학년)

34회 (2013) – ‘욕망’

– 칸트와 맑스의 자유개념(칸트의 ‘초월적 자아’ 개념과 맑스의 ‘대상적 활동’의 개념과 관련해서) – 3학년 송성아 / 논평 – 이진원(석사과정)

35회 (2014) – ‘철학을 만난 나의 삶’

– 21세기 한국에서의 니체 해석에 관하여(윤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 3학년 조혁기

– 컴퓨터, 사고, 그리고 지향성 – 4학년 김일주 / 논평 – 박슬기(석사과정)

36회 (2015) – ‘미래’

– 사르트르 실존주의를 이용한 칸트 의무론의 보충 – 2학년 박정현 / 논평 – 이민열(4학년)

37회 (2016) – ‘소수자Minority, 우리 안의 난쟁이’

– 소란스러운 연대 – 박민미(본교 강사)

– 우리는 무엇을 공부를 해야 하는가 : 筍子적 세계관내 공부론 – 3학년 전지훈 / 논평 – 이민열(4학년)

– 모순담론 : 양심과 그 위선 – 헤겔 철학을 중심으로 – 2학년 유성수 / 논평 – 류희철(3학년)

– 숭고와 경험 – 2학년 조지환 / 논평 – 김성제(석사과정)

38회 (2017) – ‘페미니즘 : 찢고, 뒤집고, 무너뜨리기’

– 철학의 타자는 말할 수 있는가? : “나는 바람에 흔들리는 다리, 소용돌이가 몰아치는 교차로” – 김은주(동덕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 헬조선을 망치러 온 구원자, 헬페미 – 윤김지영(건국대 몸문화연구소 교수)

– 비체화(아브젝션)로 인해 억압되는 여성의 신체와 권력 연구 :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시적 언어의 혁명』이 주목하는 ‘부정성’개념을 중심으로 – 1학년 권수정

–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과 근대철학으로의 전회 –코기토의 발견과 실체 개념을 중심으로 – 4학년 류희철

39회 (2018) – ‘나(I)’

– 나를 아는 길 : 자연적인 길, 초월적인 길, 그리고? – 김영진(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 예술들, 검열, 교육 – 4학년 조지환 / 논평 – 김성제 (석사)

– ‘지칭되는 것’에 대하여 – 2학년 김기동 / 논평 – 임재민(석사과정)

40회 (2019) - ‘죽음’

– 동서양 종교와 철학의 기초 : 죽음 – 유흔우(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 언어, 대중음악, LANGUAGE – 유성수(3학년) / 논평 – 김기동(3학년)

– 우리에게 자유의지란 있는가? - 벤자민 리벳의 뇌 과학 실험을 중심으로 – 박정현(3학년) / 논평 임재민(석사과정)

41회 (2020) - ‘연결’

– 특별 기고글 : 2020 디오니소스제 “연결”(최인숙, 본교 명예교수)

– 연결, 가장 마지막과 처음 : 당신은 어떤 연결을 묻습니까? 허유선(본교 강사)

– 기술적 복제시대 이후의 예술작품 – 대중음악 – 유성수(4학년) / 논평 조지환 (서울대 철학과 석사과정)

– 트랜스휴먼과 AI는 인간으로 분류될 수 있는가? - 익명

42회 (2021) - ‘사랑’

– ‘나는 누구를 사랑하는가?-하나됨의 사랑에서 둘됨의 사랑으로’ - 임지연 교수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문학평론가)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 나타난 사랑의 다중적 의미 – 박성진(4학년) / 논평 조지환 (서울대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석사과정)

– 경험 기계에 들어갈 것인가? : 고통을 대하는 태도와 불교적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 이수안(1학년) / 논평 강유찬(2학년)

43회 (2022) - ‘관계’

– '동물과 함께 살기: 인간과 동물의 윤리적 관계' - 최훈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철학 교수)

– 이성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윤준혁(4학년) / 논평 남성일 (동국대학교 철학과 박사) 

44회 (2023) - ‘인人, 생生: 사람 사는 이야기’